예보 매각 작업 중단, 연내는 어려울 듯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우리은행의 연내 완전 민영화가 사실상 무산된 모습이다.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 보유 잔여 지분 매각에 대한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황으로, 매각 지연에 대해선 시장 상황보다 당국의 의지박약이 문제라는 지적이 주를 이루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연내 완전 민영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달 말 열린 금융위원회 대통령 업무 보고 당시 우리은행 지분 매각 문제가 언급조차 되지 않았고, 직후 열린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 회의에서도 이 건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6월 중순 열린 공자위 회의에선 예보 보유 우리은행 지분 21.37% 중 콜옵션을 제외한 18.78%에 한해 연내 매각키로 의견이 모아졌다.

우리은행이 지주사 전환을 모색 중인 상황에서 지주사 전환 후 지분 매각에 나설 경우 대주주 의무보호예수 문제에 걸려 일정기간 지분을 팔 수 없고 세금 문제 등도 복잡해져 ‘공적자금의 빠른 회수’라는 대의를 거스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리은행 주가가 작년 말 민영화 이후 40% 이상 상승했다는 점 또한 올해 중 지분 매각 가능성에 무게감을 실어줘다. 우리은행에 12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을 투자한 정부는 현재까지 11조원을 회수했다.

우리은행에서도 이광구 행장이 직접 해외 투자자들을 만나 활발한 투자 세일즈를 펼치는가 하면 아주캐피탈 지분 투자에 나서는 등 완전 민영화 뒤 지주사 전환을 위한 물밑 작업을 활발히 진행해 왔다.

당시 업계에서는 9월 중 예보가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에 나설 것이란 전망 등이 나오기도 했다.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에 대한 당국 입장이 석 달 새 크게 변한 것과 관련해선 ‘정권 교체 여파’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가장 크다.

16년을 끌어왔던 민영화가 지난해 마무리 된 상황에서 새 정부와의 충분한 교감 없이 서둘러 잔여 지분 매각에 나서는 것에 금융당국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주장이다. 지난 정권 당시 임명된 공자위 민간위원 6명의 임기가 10월 만료된다는 점 역시 매각 지연의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우리은행 자회사인 우리종금의 위법 행위가 최근 밝혀졌고 그에 대한 감사 및 제재가 예정돼 있다는 점 역시 지분 매각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견 또한 나오고 있다.

업계 일각에선 우리은행을 통한 새 정부의 관치금융 재현 의혹도 스멀스멀 제기되고 있다.

공적자금의 빠른 회수라는 절대 목적에도 불구 우리은행 민영화가 10여년 넘게 걸린 이유에 대해 업계에서는 ‘우리은행을 국책은행으로 둘 경우 유용성이 커 역대 정부가 지분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현 정부 역시 우리은행 잔여 지분 보유를 통한 장점이 커 매각을 늦추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실제 최근 금융당국 내부에서는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이 지주사 전화 후에도 늦지 않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지분 매각 시점을 최대한 늦추겠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