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악재는 주가에 선반영, 수익악화 상쇄 요인도 충분해

<자료=DataStream, 하나금융투자>
<자료=DataStream, 하나금융투자>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8.2 부동산대책 여파로 건설업종 지수가 급락한 가운데 증권업계가 이를 두고 앞으로 이어질 긍정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반응이라고 분석했다.

8.2 부동산대책이란 투기지구, 투기과열지구, 청약조정지역 등 3개의 지역 체제를 통해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주택가격 안정화를 이루려는 목표로 문재인 정부가 지난 2일 발표한 정책이다.

투기지구, 투기과열지구의 주택구입 시 주택담보대출의 건수와 담보인정비율을 낮추고 양도세 강화를 통해 다주택자의 주택 구매에 제한을 두는 내용을 골자로 하며 9월 이후 정책조정을 통해 민간 분양의 분양가 상한제를 사실상 다시 적용,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규제 강화로 귀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8.2 부동산대책 이후로 건설사 주가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주택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건설, 건자재 등 건설업종 전 부문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대책이 발표된 직후였던 지난 3일 현대건설 주가가 전일대비 6.69% 떨어진 것을 비롯해 대우건설(-6.13%), 대림산업(-3.20%)의 주가가 하락했으며 일주일 여가 흐른 현재도 대부분의 건설사 주가는 내림세에서 맥을 못 추고 있다.

그러나 증권업계는 8.2 부동산대책이 건설업종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부동산 규제 악재는 주가에 선반영 된 부분이 있고 수익성 악화를 상쇄할 요인도 많아 현재 하향세는 다소 성급한 분위기라는 판단이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건설주는 이미 작년부터 부동산 규제 흐름 등으로 주가 상승이 억눌려진 측면이 있다”며 “현시점에서 주가 하락 위험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8.2 부동산대책을 통해 사실상 수요억제 방침이 대거 발표됐지만 앞으로는 도시재생, 공적임대, 소규모재정비 등 정책도 순서대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도시재생은 연 10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초대형 경기부양책으로 노후 단독주택(빌라) 개량 시장의 성장으로 연결돼 마감용 건자재의 성장으로 연결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공적임대 사업의 경우 임대주택 공급 촉진과 연결되는 것으로 기업형임대주택 사업 활성화를 예상케 한다.

또 내년 2월 개시 예정인 소규모재정비는 나홀로 아파트의 재건축을 법적으로 가능하게 한 것으로 신탁회사의 주요 수주처로써 한국토지신탁, 한국자산신탁의 성장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채 연구원은 “지난주 주가하락으로 투자심리가 냉각돼 상승분을 반납했지만 하반기와 내년 2월 이후의 시장 변화를 고려할 시 멀티플 하향은 성급하다고 판단된다”며 “도시재생과 공적입대, 소규모재정비 수혜가 예상되는 신탁회사와 건자재 기업에 대해 매수의견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