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도 단순 금리차에 따른 자금 이탈 없어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과 함께 국내 금융권에서는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역전과 그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이 제기됐다. 그러나 증권가 내부적으로는 이 같은 우려가 기우에 불과할 것이란 의견들도 나오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은 생각보다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5일 새벽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산하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미국 정책 금리를 연 1.0∼1.25%로 올리기로 최종 결정했다. 또 옐런 연준 의장은 빠르면 9월 또는 12월 중 한차례 더 금리를 올릴 방침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지난 1년간 연 1.25%로 동결된 상태다. 미국 측의 금리 인상으로 양국의 금리가 같은 수준에 도달했고, 2007년 8월 이후 10년 만에 역전이 유력한 상황이다.

국내 증권가에서는 즉각 한미 금리 역전시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과 미국 금리가 같을 경우 한국보다는 자금시장이 안정된 미국으로 외인 자금이 이동할 것이란 예상이다.

그러나 최근 증권가 분위기는 단순 금리차에 의한 외국인 자금 이탈 가능성은 적다는 쪽에 맞춰지고 있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의 경우 “단기에 금리차가 급격히 확대된다면 일시적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 동인이 발생할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그러나 연준의 태도와는 다르게 시장 참여자들은 하반기 급박한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현 경제상황 등을 고려할 때 과격한 금리 인상은 연준도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어 조 연구원은 과거 한미 금리가 역전됐던 1999년 6월에서 2001년 2월, 2005년 8월에서 2007년 8월과 비교해도 자금이탈 우려는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조 연구원에 따르면 1999년의 경우 IMF란 특수한 상황 속 오히려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졌으며, 2005년의 경우 초기에는 매수세가 강하다 조정기를 거쳤고 2006년 중반에 들어서야 외국인 매도 움직임이 늘어났다.

조 연구원은 이에 대해 “금리차가 역전되면 외국인 수급이 불안해 질 수 있다는 논리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만한 것이지만, 경험적인 측면에서 결국 한국과 미국의 정책 금리 차이라는 명제와 외국인들의 움직임 간에 직관적인 관계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의 경우 금리인상 가능성을 꾸준히 내비치고 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우려가 크지만 금리 역전의 파장 등을 고려 통화정책 조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금리 인상폭과 관련해선 국내 경제 실정을 고려할 때 급격한 인상 여력은 충분치 않아, 연내 한차례 정도 0.25%포인트에서 0.5%포인트 가량을 올릴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런가하면 노무라증권은 한은이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거라는 기존 관측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일자리 지표가 회복됐다는 명확한 근거가 현재 부족하고, 경제 성장세가 2분기 이후 주춤할 것이라 전망했다.

JP모건도 올해 중 금리 인상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의 한은의 금리 인상 움직임 자체가 통화정책 운용 여지를 확대하고 주택가격 상승에 대응하려는 전략적 대응일 뿐이란 해석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