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핀란드·오스트리아 등 선진국과 산유국 중심 강등
등급전망 '부정적' 61개국…긍정적의 3배

<자료=국제금융센터>
<자료=국제금융센터>

[현대경제신문 강준호 기자] 올해 2분기 국제신용평가사들이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이 35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들의 올해 2분기 국가신용등급 조정은 상향 9건, 하향 35건을 기록했다.

최상위 신용등급인 유럽 선진국들의 하향조정과 산유국을 중심으로 투기등급 이하 추가 강등이 주도했다.

AAA(무디스 Aaa)에서 AA(Aa1)로의 등급하락은 영국,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총 3건이며 2분기 말 기준 최고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13개국으로 감소했다.

핀란드는 전자, 제지업 중심으로 경기부진을 겪고 있으며 가격경쟁력 약화, 노동인구비율 감소 등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단기 반등도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스트리아는 낮은 노동참여율, 생산효율 감소 등에도 구조개혁이 지연되며 중장기 성장전망이 하락했다.

투기등급 이하(BB→B) 등급강등은 나이지리아, 앙골라, 가봉 등 총 8건으로 지난 1분기 무디스의 산유국 등급검토에 이은 후속조치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무디스는 지난 3월 저유가 장기화 전망에 따라 원유, 가스 부문 의존도가 높은 16개 국가들에 대해 강등을 검토했다.

국제신용평가사 중 무디스가 2분기에 가장 많은 24개국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으며 피치 9개국, S&P 4개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다.

등급상향은 아르헨티나의 기술적 디폴트 해소와 헝가리, 슬로베니아 등 동유럽 국가들의 대외취약성 개선 등이 반영됐다.

아르헨티나는 4월 165억달러의 국채발행을 통해 홀드아웃 채권단에 91억달러를 상환하고 기술적 디폴트 대상이던 조정채무 이자 27억달러를 전액상환하며 신용등급을 회복했다.

대륙별로는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총 17건의 하향조정이 이뤄졌으며 남아메리카(8건), 유럽(6건) 순으로 강등이 있었다.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영국과 브라질, 러시아 등 7개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 전망에 포함했다.

이에 따라 6월말 기준 3개 신용평가사로부터 부정적 전망을 부여받고 있는 국가는 전체 61개국으로 긍정적 전망(20개국)의 3배에 해당한다.

1분기 무디스와 S&P가 중국의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조정한데 이어 2분기 피치가 일본을 부정적으로 조정하면서 아시아권 신용악화 우려도 증가되고 있다.

다만 무디스가 산유국 16개 국가에 대한 강등검토 후속조치를 2분기에 걸쳐 실시하면서 2분기 말 기준 강등검토 대상국은 감소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