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등이 중금리 대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금리 대출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용등급에 20%대 고금리 신용대출에 내몰렸던 중신용자에게 적정한 금리대를 제공하겠다며 만들어진 상품이다.

여기에는 정부의 의지가 작용했다. 올 초 은행과 저축은행 포함, 각각 5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고자 한 것도 중금리 대출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정부의 요청에 먼저 화답한 것은 은행권이다. 다음달이면 은행에서 6~10%대의 중금리 대출 상품이 나온다.

근로소득자의 경우 6개월 이상의 재직기간과 2천만원 이상 연간 소득, 자영업자 등 사업소득자는 1년 이상 사업 유지와 1천200만원 이상 연소득이라면 6~10%대에서 대출이 가능하다.

즉 사회초년생이나 연금수급자 등 상환능력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계층에게 적용되는 상품이다.

이들을 저축은행권에 적용하면 우량대출자로 구분된다.

신용대출을 주로 취급하는 A저축은행의 6등급 이하 신용대출자 비중은 전체 고객의 90%를 웃돌 정도다. 다른 저축은행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저축은행에게 중금리 대출은 연체, 부실 이력만 없다면 금리를 낮춰서라도 데려가야 하는 시장인 셈이다.

게다가 정부의 최고금리 인하 기조에 상한금리가 20%대(27.9%)에 진입하면서 저축은행이 대부업 상한금리보다 낮아야 한다는 여론도 거세다.

저축은행이 대출심사의 문턱을 높이고 중금리 대출 상품을 속속 출시하는 이유다.

뻔히 적자가 예상되는 저신용자 대신 당장의 적자를 감수해서라도 장기적 우량고객인 중신용자를 잡겠다는 복안이다.

저축은행은 점진적으로 신용대출 가운데 저신용등급를 줄이고 수익성이 보장된 중신용등급 고객군을 늘려갈 것이다.

이때문에 대다수 저신용 서민들은 제도권 내에 발을 더욱 붙이기 어려워질 판이다.

중금리 대출 활성화가 금융시장의 소외계층을 제도권 밖으로 밀어내는 부작용만 부각되지 않을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