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희용 내외정책홍보원 원장.
권희용 내외정책홍보원 원장.

구글(google)이라는 회사는 기존의 기업체가 꼭 갖춰야 할 조건들을 무시하고서도 일거에 세계적인 기업으로 우뚝 섰다.

마케팅조직이 없는 것도 특징가운데 하나다. 이른바 비즈니스를 하지 않고도 수많은 물건을 팔아먹는 회사로 꼽힌다.

기업의 조직원이 소비자를 직접 상대하지 않고, 소비자가 또 다른 소비자에게 물건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식이다. 소비자도 이른바 오프라인 매장에 찾아가서 물건을 고르고, 확인하고 대금을 지불하는 식의 거래를 하는 게 아니다.

소비자는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개인 컴퓨터의 자판을 손가락으로 몇 번 두들기기만 하면 된다.

돈도 지불하지 않는다. 물론 모든 것이 온라인화 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새로운 경영기법에 의한 기업운영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혹은 디지털시대의 기업운영의 총화가 구글이라는 회사로부터 비롯되고 있다는 평가는 그래서 나온다.

생산을 한 제품을 매장에 진열하고, 고객을 안내하고, 제품을 설명하고, 값을 제시하고 그리고 돈을 계산해서 거래를 종결하는 과정이 생략된 것이다.

회사는 다만 소비자들이 우리회사제품을 얼마만큼 선호하고, 인기리에 제품이 팔리는지를 불특정 고객들에게 알려주기만 하면 된다.

소위 정보제공만하면 회사로서 할 일을 다 한다는 식이다. 정보유통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기업이나 조직의 성패여하가 달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새 시대 기업운의 명운을 가름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일찍이 디지털산업이 다른 나라에 비해 앞선 국가로 꼽히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구글식 경영을 각 분야에 접목한다면 새 시대를 리드하는 나라로 성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런 견해에 대해 그건 또 다른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꼬집는다. 하드웨어 그리고 이제는 기초에 불과한 디지털의 생활화에서는 수위를 달리겠지만, 이를 시스템화하고 공공화하기 위한 정책적 바탕이 구비되기까지는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아무리 디지털기기가 많은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해도 이를 적절하게 써먹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은 기술만으로는 어렵다는 것이다.

소위 인문학적 바탕이 동시에 깔려있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치는 이런 요구에 부응해야하는 의무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기술만 있다고 새로운 시스템이 쉽게 구축되는 것이 아니다. 설사 단시간에 비슷한 시스템이 구축된다고 해도 발전을 거듭하는 저력이 지속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정치에서도 협치(協治)가 요구되는 즈음이다. 소위 통치시대가 종식된 것이다. 4.13총선 결과가 가져다준 국민의 요구이기도 하다. 이런 즈음에 디지털 선진국식 국가운영이 기대된다.

여와 야가 대립관계에서 벗어나 상호보완해서 공동운명체를 이끌어 나가 달라는 것이 국민의 명령이다. 지금껏 해보지 못했고 꿈꿔보지도 않았던 새로운 정치시스템인 셈이다. 그러나 이를 외면하고서는 국민의 지지를 스스로 걷어차는 모양이 된다.

지금보이고 있는 각 정당의 내분은 새로운 시스템적용을 위한 일종의 부작용이라고 여기고 싶다. 머지않아 새 시스템에 순응해서 나라가 직서정연하게 작용해 나갈 것임을 국민은 염원하는 것이다.

일방의 지시에 의한 작용이 아닌 쌍방의 협의에 의한 순응이 긴요한 세상이 된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작용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기존의 권위와 권력의 속성은 매우 거북하게 여기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독점이 가능한 세상이 아니다. 필요한 사람이 소비의 주체가 되는 세상이다. 기업은 이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구축에 힘쓰면 되는 것이다. 일방일 수 없는 셈이다.

쌍방이 서로의 요구에 일정하게 힘쓰면 되는 세상인 것이다. 아름다운 협치 만이 새 세상을 구현하는 것임을 스스로 깨쳐야한다. 경제의 원리가 바로 그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