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놀 사고 2년 지나도록 대책 부족, 사회적 책임 미흡”
포스코 “환경정화 예산 1천억 집행…원상회복 노력 중”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강남 포스코센터 앞에서 강릉 옥계면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포스코 마그네슘공장 페놀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나도록 포스코는 여전히 환경정화 및 주민지원 대책에 미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공>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강남 포스코센터 앞에서 강릉 옥계면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포스코 마그네슘공장 페놀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나도록 포스코는 여전히 환경정화 및 주민지원 대책에 미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공>

[현대경제신문 차종혁 기자] 포스코(회장 권오준)가 강릉 옥계면 마그네슘공장의 페놀유출 사고에 대해 적절한 환경정화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강남 포스코센터 앞에서 강릉 옥계면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포스코 마그네슘공장 페놀 유출사고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나도록 포스코는 여전히 환경정화 및 주민지원 대책에 미흡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 페놀 유출 사건은 2년 전 강릉시 옥계면에서 일어났다. 2013년 6월 주수천 교량공사과정에서 교각의 터파기 공사를 하는 중 페놀 유출이 발견됐다. 포스코 마그네슘공장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출됐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

강원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하수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페놀 2천307mg/kg(지하수수질 기준치 0.005)로 지하수 수질 기준 46만 배나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포스코는 3차에 걸친 정밀조사를 실시했지만 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차와 2차 정밀조사 보고서에서는 환경부가 오염물질로 규정하고 있는 비소가 포함됐지만 3차 보고서에서는 누락됐다.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강남 포스코센터 앞에서 강릉 옥계면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 생계 대책과 적절한 정화 계획 수립으로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공>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강남 포스코센터 앞에서 강릉 옥계면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 생계 대책과 적절한 정화 계획 수립으로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환경운동연합 제공>

정화 대책도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9월 주민설명회에 제출한 ‘마그네슘 제련공장 토양·지하수 정화계획’에 따르면 토양정화는 2018년 6월까지 4년간 진행하고 지하수는 2025년 9월까지 11년간 자연 정화할 계획이다.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11년 동안 지하수를 자연 정화하겠다는 것은 11년 동안 오염물질을 방치하겠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포스코가 제시한 토양 정화방법은 토양세척과 토양세정(지중처리) 방법이다.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원칙적인 방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해 지상에서 토양을 세척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포스코는 오염된 토양의 20∼30% 정도만 토양세척을 하고 나머지는 물과 과황산나트륨을 흙속으로 주입하고 다시 양수하는 토양 세정 방법으로 오염정화를 할 계획이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토양세정법은 외국에서는 정화율이 40%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토양정화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사례가 없고 그 효율도 미지수”라며 “오염물질을 50% 정도도 제거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주민들의 건강도 문제로 지적된다. 포스코 마그네슘공장 주변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김모씨(58·여)의 소변에서 85.87㎎/gCr의 페놀이 검출됐다. 일상생활에서 검출될 수 있는 페놀의 최대치(20㎎/gCr)보다 4배 이상 많은 수치다.

지난 3월 포스코는 마그네슘 공장인근 주민들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위한 각종 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는 올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주민들의 불안을 불식시키는 차원에서 결과를 조속히 발표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합당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지역경제 피해도 상당하다. 마그네슘공장 인근에 있는 횟집들의 대부분은 개점휴업인 상황에 이르렀다. 펜션과 민박업에 종사하는 주민들 역시 관광객들의 감소로 생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

지난해 9월 강릉시는 마그네슘 공장 인근 농경지에 대한 경작금지 명령을 내렸다. 대책위는 “오염된 농경지에서 농사를 짓던 일부 농민들에게 포스코는 적절한 보상을 하지 않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했다.

이날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6월 주수천 인근 물구덩이에서 붕어가 떼죽음 당하고, 같은 해 8월 금진해변에서 조개가 대규모 폐사하는 등 전례 없는 생태계 파괴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정확한 역학조사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스코는 관계자는 “마그네슘 페놀 유출로 인해 피해를 본 지역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는데 보상을 제대로 못받았다고 생각하는 일부 주민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들의 주장과 달리 포스코는 환경정화를 위해 1천억원의 예산을 집행해 지속적으로 원상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