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재벌기업들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이 여론의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근래에는 그 확장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특히 10대 그룹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총수 자녀들이 학원, 빵집 등의 중소기업영역에 진출해 손쉽게 사업을 확장하면서 중소 상인들의 밥그릇을 빼앗고 있다는 비난여론이 날로 커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4년간(2007년 5월∼2011년 4월) 35개 대기업집단의 계열회사 수 변동현황을 분석한 결과 652개가 편입되고 259개가 제외돼 총 393개가 순증가했다.

35개 대기업집단이 매년 2.8개씩 증가한 것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12.1% 수준에 이르는 수치다. 연도별로는 2007년 5월부터 2008년 4월 사이에 140개(편입회사 기준)가 늘어났고, 2008~2009년(173개), 2009~2010년(138개), 2010~2011년(201개) 등으로, 최근 확장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셈이다.
또한 대기업들의 문어발 확장은 자산규모가 큰 10대 기업에서 더욱 활발하게 나타났다.

특히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집단(연평균 14.1%) 보다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GS, 한진, 한화 등 5~10대 집단(연평균 20.7%)의 증가율이 높았다. 11~35대 집단의 연평균 증가율은 7.8%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4년간 포스코의 계열회사 수가 38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어 롯데(34개), SK(29개), LG(28개), GS(28개) 순으로 나타났다.

또 총수 없는 집단(포스코, KT, 하이닉스, 대우조선해양, 한국GM, KT&G 등 6개)의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28.3%로, 총수가 있는 집단(29개)의 증가율 10.8%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공익적 성격이 강한 기업이지만 정부의 입김아래 선임된 최고경영자(CEO)들이 실적을 올리기 위해 계열사를 늘린 결과”라고 풀이했다.

대기업들이 계열사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의 영역에서 사업 하는 경우도 크게 늘어났다.
실제 공정위의 조사결과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개 그룹의 74개 회사가 중소기업 영위 분야에 진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30개사는 최근 4년간 신규로 진출한 회사들이다. 여기에는 삼성LED, 현대LED, 포스코LED(LED램프), 두산동아(골판지), 한성레미콘(레미콘), 엔투비, 미러스, 힘스(MRO), 대우조선해양상조(상조업), 트라이브랜즈(내의), 롯데KKD, 블리스, 현정알엔에스, 누보쉐프, 보나비(식음료소매업), 호연관광레저산업(웨딩) 등이 포함됐다.

<표>-재벌가 중소기업 영위분야 진출 현황

                                                                 ※2011년말 현재 기준임, 삼성 보나비·롯데 블리스·현대차오젠 사업 부는 이후 철수
                                                                                                                                                         ※자료 : 공정거래위원회

특히 총수 자녀(2~3세)가 관련된 회사가 17개에 달했다<표 참조>. 부를 되물림한 재벌들이 골목상권을 장악하고 있다는 비난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삼성그룹의 제일모직·콜롬보코리아(이서현), 보나비(이부진), 롯데그룹의 롯데리아(신동빈), 시네아통상·시네아푸드(신영자), 블리스(장선윤), 현대차그룹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정성이), 종로학평·입시연구사(정태영), 현대백화점그룹 현대그린푸드(정지선), 신세계그룹 조선호텔베이커리(정유경), 두산그룹 디에프엠에스(박정원), 한진그룹 싸이버스카이(조현아, 조원태), 효성그룹 효성토요타(조현준) 등 해당된다.

집단별로는 롯데가 5개사로 가장 많았고, 삼성(4개사), 현대차(3개사) 순으로 나타났으며, 베이커리나 패션·명품 수입유통업종에 진출한 경우가 많았다.

공정위 이번 조사를 토대로 계열사 수 증가 자체보다는 계열확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수일가의 사익 추구나 중소기업영역 잠식 등이 대기업집단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공정위는 총수자녀가 기업집단의 기존 유통망을 활용해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 등 불공정행위에 대해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총수의 사익추구 유인을 증가시키는 복잡한 출자구조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분도를 공개하는 등 사회적 감시 시스템을 확충하고, 대기업 스스로 불합리한 경영행태를 사전에 규율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