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주재 회의서 시장안정 확대 결정
한국투자·KB 부동산 PF 투자 지원 나서
우발채무 위기 감지되던 시장은 '안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현대경제신문 최윤석 기자] 위기감이 감돌던 국내 부동산 프로젝스 파이낸싱(PF) 시장이 금융당국과 금융사의 지원에 힘입어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6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정책금융기관, 금융회사 등과 함께 '회사채·단기금융시장 및 부동산 PF 리스크 점검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선 부동산 PF 대응방향과 부동산 PF 대주단 협약 개정방향, 민간 사업재구조화 지원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금융위를 비롯한 당국은 총 40조원 이상의 지원여력을 보유한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활용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는 동시에 부동산 PF의 불안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정책대응 수단을 마련해 집행하기로 했다.

앞서 시장안정 프로그램은 지난달 28일 기준 40조원 중 총 12조5,900억원이 집행됐고 여기에 더해 금융당국은 부동산PF 리스크가 건설사와 부동산신탁사로 파급되지 않도록 건설사 등에 대해 정책금융 공급규모를 22년말 잔액에 5조원을 추가로 편성한 28조4,0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한 장치들도 마련해 리스크 관리 강화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앞서 국내 유력 증권사들은 부동산 PF 시장에서 구원투수에 나섰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일 태영건설과 2,800억원 규모의 금융 조달 상품을 만들기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펀드에는 태영건설이 800억원, 한국투자증권이 2,000억원을 납입한 것으로 알려졌고 조성된 자금은 태영건설의 부동산 PF 사업의 자금 조달용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KB금융그룹은 그룹차원에서 각 계열사들과 산업은행은 건설사 유동성 지원을 위한 5,000억원 규모의 CDO(부채담보부증권)를 발행하기로 하고 막바지 조율 작업을 진행 중이다.

CDO는 금융사의 대출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유동화시킨 파생상품으로 KB국민은행과 KB손해보험 등이 선순위로 출자하고 KB증권은 후순위로 참여하는 형태다. 산업은행은 500억원 상당을 출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부동산PF 시장은 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관련 우발채무 규모가 2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나 시장의 우려가 컸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가 보유한 부동산 PF 대출 관련 우발채무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2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대부분인 19조6,000억은 증권사가 신용위험까지 부담해야하는 매입확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는 우발채무 상당 부분이 고위험군 부동산PF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하고 있어 신용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7개 중소형사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은 평균 43.8%, 이중 3개사는 해당 비중이 60%대였고 90%가 넘어서는 회사도 두 개 회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지원과 유력 증권사들의 잇따른 부동산 PF 투자 지원 확대에 위기의 빨간불이 켜졌던 시장에선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분위기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부동산 PF 사업은 각 사업별 자금 조달구조가 달라 각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적일 것”이라면서도 “꽉 막힌 시장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만큼 기존 PF 사업 구조에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단순 금융 지원뿐만 아니라 대주단 참여자 확대, 민간 자율 사업 재구조화 추진 등으로 시장이 안정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며 “주금공과 HUG, 캠코 등 기관 참여로 실질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곳에 유동성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