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하지현 기자
산업부 하지현 기자

[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6G 도입 논의가 속속 들려오고 있다. 6G는 1000GHz 이상의 초고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고 5G보다 많게는 10배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통신 인프라다. 5G의 특성인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성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것이라 일상에 접목하면 비약적 향상이 가능할 전망이다.

업계에선 6G가 2030년은 되야 본격 상용화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국제 표준화 단체들에서 아직 6G를 정의할 최소한의 표준조차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6G의 구체적인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았으나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들은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한 사전 준비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SK텔레콤과 NTT도코모는 5G를 비롯해 ‘5G 에볼루션’과 6G의 주요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기술 표준을 함께 정립해 나가기로 했다. 

KT도 서울대학교 오정석 교수 연구팀과 초소형 안테나 기술 ‘RIS(지능형 반사 표면)’의 개발과 검증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전파 음영 지역에서 수신율을 높여 주는 차세대 안테나 기술인 지능형 표면(RIS)을 개발해 전파방송기술대상 국무총리상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업계 기대와 달리 6G 소식을 접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5G 서비스 잡음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6G를 준비하겠다는 게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는 2019년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했으나 소비자들이 느끼는 5G 체감 품질은 기대 이하다. 다운로드 속도, 부족한 커버리지에도 요금은 LTE보다 높게 책정돼 있기 때문이다.

결국 지난달 28㎓ 대역 주파수를 할당받은 이통3사 가운데 SKT가 이용기간 단축을, KT와 LG유플러스는 할당 취소처분을 받았다. 과기정통부 이행 점검 결과 구축된 기지국이 할당 조건의 10%대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5G의 불만족스러운 품질을 문제 삼아 소송까지 불사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G 통신분쟁 건은 지난해 상반기 76건에서 올해 상반기 218건으로 증가했다.
최근에는 5G 가입자 성장세마저 둔화하며, 되레 ‘알뜰폰+LTE’ 조합으로 이탈하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이는 차세대 서비스만 먼저 시작했을 뿐 그에 걸맞은 품질을 제공하지 못한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실망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렇기에 과연 5G 서비스 구현도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6G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적합한가 의문이다. 이통3사는 6G 기술을 상용화할 때는 부디 5G 도입 때와 달리 과대 홍보는 지양하고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