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 기조 속 정부 정책도 효과 못 내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정유라 기자] 전국 부동산시장 냉각기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서울 집값이 10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한 가운데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속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며, 정부 정책도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1주(5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5% 하락했다. 이는 2013년 8월 5일(-0.15%) 조사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이다. 지난주 수도권 아파트값 역시 0.21% 하락해 2012년 9월 10일(-0.22%) 조사 이후 10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29%, 0.22% 떨어져 수도권 전체의 낙폭은 -0.20%에서 -0.21%로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25개구가 모든 하락한 가운데 지난해 2030세대 '영끌족' 매수세가 집중된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노원구와 도봉구 아파트값이 각각 0.30% 하락하며 서울 내에서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도봉구는 쌍문·방학·창동 구축 위주로, 노원구는 중계·상계·월계동 위주로 하락했다. 서대문구(-0.25%)는 남가좌·북가좌동 대단지 위주로, 은평구(-0.23%)는 녹번·응암동 위주로 떨어졌다.

강남권 하락세도 심상치않다. 송파구(-0.16%)는 잠실동 대단지와 오금·문정동 위주로, 금천구(-0.16%)는 독산·시흥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관악구(-0.14%)는 봉천·신림동 위주로, 영등포구(-0.13%)는 문래·양평동 중저가 위주로 하락했다.

매매시장 역시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7월 서울 아파트 누적 거래량은 총 8557건으로 2006년 실거래가 신고 도입 이후 연간 최저 거래량을 기록한 2012년의 1∼7월(2만2441건)에 비해 162% 줄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3만550건)에 비해선 257% 감소한 수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80.9를 기록하며 18주 연속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단순 지수만으로는 2019년 7월 1일(80.3) 이후 약 3년 2개월 만에 최저다.

업계에서는 추석 연휴 이후 통상 성수기로 꼽히는 가을 이사 철 시기에도 불구하고 거래 침체와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이 이달에도 3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글로벌 국가들의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서 한국은행도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가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규제 완화와 공급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실효성이 미미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제한적이라 부동산 수요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부터 생애 최초 주택 구입 가구에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의 상한을 80%로 완화한 것이 대표적이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는 투기지역과·투기과열지구의 경우 종전 40%, 조정대상지역은 50%에서 80%로 LTV가 늘었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는 그대로다. 오히려 지난 7월부터는 총대출액 1억원 초과 차주도 소득에 따라 대출이 제한돼 사실상 완화 효과가 거의 없다.

이달 중 공개될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개선안 역시 '사실상 폐지 수준'의 큰 폭의 완화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조가 멈추지 않는 이상 주택 매수에 나서기 힘들다는 분위기가 이어져 하반기에도 거래 침체는 심화될 것“이라며 "경기 회복 조짐이 나타날 때까지 집값 하락세는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