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 매수 위축

<사진=연합>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정유라 기자] 수도권 아파트값이 최근 내림세로 전환하며 그 폭이 커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주택시장 관망세가 길어지는 가운데 내 집 마련을 노리는 무주택자 수요가 상대적으로 주춤한 모양새다.

8일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2019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35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지난 6월(-0.04%) 3년 만에 하락 전환됐다. 이어 7월에는 0.12% 떨어져 전달 대비 하락 폭이 3배 커졌다. 이는 2019년 6월(-0.1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이다.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값의 연간 상승률은 25.42%에 달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줄어든 주택 공급과 저금리,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던 2002년(29.27%)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지난해 2월(2.32%), 3월(2.38%), 6월(2.42%), 8월(2.50%), 9월(2.43%)에는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2% 중반에 달할 정도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서울(16.40%)은 2006년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경기(29.33%)와 인천(32.93%)은 각각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1986년 이래 역대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준금리 연 0%대의 저금리가 유지된 데다 집값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불안을 느낀 무주택자들이 대출을 받아 경기·인천 지역의 집을 사는 ‘탈서울 내 집 마련 행렬’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정차 지역 발표에 따른 교통개발 호재도 상승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된 것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경기와 인천의 아파트값은 지난달 각각 0.15%, 0.38% 떨어져 전달의 0.05%, 0.43% 하락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빠졌다.

서울은 상승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지난달(0.03%) 상승 폭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축소됐다.

작년 말과 비교해 올해 1∼7월 서울시는 성북구(-0.30%), 인천시는 연수구(-0.50%)·남동구(-0.12%)·서구(-0.18%)의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경기도 역시 같은 기간 안양시 동안구(-2.27%), 수원시 영통구(-2.26%), 화성시(-2.20%), 의왕시(-1.28%), 광명시(-1.14%), 수원시 권선구(-1.07%) 등의 아파트값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다양한 변수들이 연이어 맞물리면서 불안한 심리가 전국적인 집값 하락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다”며 “특히, 수도권 내 아파트를 장만하려는 수요는 넘치지만 부동산 정책 변화와 자금 부담의 영향으로 현재 수도권 아파트값 거래절벽이 심화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