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주거·문화 등 직주 혼합 도시 조성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조감도. <사진=서울시>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조감도. <사진=서울시>

[현대경제신문 정유라 기자] 서울 용산정비창 부지 개발이 10년 만에 다시 추진되면서 용산 일대의 미래가치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용산정비창 부지에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이 모이는 '아시아의 실리콘밸리' 국제업무지구를 중심으로 일자리·주거·여가·문화생활까지 가능한 직주 혼합 도시가 조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일대를 서울 시내 첫 '입지 규제 최소구역'으로 지정해 용적률 1500%를 뛰어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용산구 한강로3가 일원에 있는 약 50만㎡ 규모의 땅으로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달하는 규모를 자랑해 '금싸라기 땅'으로 불린다.

지난 2007년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 사업인 '한강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의 일환으로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총 51만8692㎡를 관광·정보기술(IT)·문화·금융 비즈니스 허브 등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2013년 시행사의 부도로 사업이 좌초됐고 이후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재임 시절에는 개발이 아닌 '도시 재생'에 역점을 두면서 엎어졌다.

이번에 재추진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은 향후 국제업무지구로 조성될 용산정비창 일대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인허가권자인 서울시가 제시한 것이다. 시는 토지소유자인 코레일과의 36차례 실무협의와 전문가 자문을 거쳐 이번 구상을 마련했다.

사업구역은 용산정비창 및 선로 부지, 용산 변전소와 용산역 후면 부지를 포함하는 약 49만3000㎡로 국토교통부(23%)·코레일(72%)·한전 등이 나눠 갖고 있다. 연계 개발을 추진했던 서부이촌동 부지는 이번에 제외됐다.

구상에 따르면 직주 혼합 실현을 위해 최첨단 테크기업과 연구개발(R&D)·인공지능(AI) 연구소, 국제기구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업무공간과 마이스(MICE, 기업 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시설, 비즈니스호텔, e-스포츠 콤플렉스 등이 들어선다.

50% 이상의 녹지율 확보를 목표로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용산공원과 한강으로 뻗어 나가는 방사형 녹지체계도 구축된다.중앙에는 접근성 높은 대규모 중앙공원, 철도부지에는 선형공원이 각각 조성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내부를 연결하고 용산역까지 이어지는 '입체 보행 네트워크'를 만들고 지하에는 차량 중심의 도로교통체계를 구축한다. 용산역과 인접한 부지에는 미래항공교통(UAM),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지하철 등을 잇는 대중교통 환승 거점인 '모빌리티 허브'를 조성한다.

주택은 약 6000가구가 공급된다. 이전 정부가 2020년 발표한 1만가구 공급보다는 규모가 줄었으나 공공주택 1250가구가 들어서며 전체 공급 물량 중 1000실은 오피스텔로 짓는다. 보상금 논란이 불거졌던 대림과 성원 아파트는 개발에서 제외됐다.

업계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용산 일대를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해 '글로벌 용산 시대'를 열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정비창 부지 개발 소식으로 도시 경쟁력이 더 강화할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 개발 호재 기대감으로 용산 일대 인근 지역의 부동산 가치 상승을 이끌어 군사적 요충지에서만 머물던 해당 지역이 탄탄한 주거 인프라를 갖춘 부촌으로 크게 탈바꿈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오세훈 시장은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용산은 서울 도심, 지리적 중심지이자 철도 교통의 요충지로 잠재력이 높은 서울의 미래 중심지로 주목받아 왔으나 그동안 많은 부침을 겪었다"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차질 없이 실행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