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부터 9500여명 인력 부족 전망

대우조선해양 1도크에서 VLCC이 건조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1도크에서 VLCC이 건조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현대경제신문 이소희 기자] 지난해부터 수주 랠리를 이어온 국내 조선업계가 인력난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6~2019년 조선업 불황에 따른 구조조정를 실시 그에 따른 여파가 호황기 찾아온 것으로 올해 말부터 본격적인 조선업계 인력난이 예상되고 있다. 

1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사들은 올해 1분기 글로벌 수주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등 업황 호조가 계속되고 있으나 인력 수급 우려 또한 함께 커지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에만 연간 수주 목표 174억 달러의 56%를, 대우조선해양은 같은 기간 89억 달러의 52%를 기록하며 연간 수주 목표치의 절반 이상을 채웠다. 삼성중공업은 연간 수주 목표 88억 달러의 25%(22억 달러)를 달성하고 있다.

늘어가는 수주 잔량만큼 인력난 우려는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조선사들은 지난 2016년 전후로 수주 절벽을 겪으며 생산 인력 위주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기 때문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조선소 인력은 2014년 20만 3441명에서 2021년 9만 2687명으로 54%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9월 기준 조선 현장의 생산기능인력(협력사 제외)이 4만 7000명이 필요한 데 반해 현재 인력은 3만 8000명 규모로, 9500여 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관계자는 “당장 배를 만들 인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상황이 지속된다면 이르면 지난해 수주된 선박들이 건조에 들어가기 시작하는 올해 하반기부터 시작해 내년에는 인력난이 본격화될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조선소 인력난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조선해양 그룹사인 현대중공업그룹이 지난 3월부터 신입사원 공채를 진행하고, 정부도 조선업 관련 특정 활동(E-7)에 대해 외국인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하는 등 지원이 이뤄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조선업은 노동 강도가 높고 수주가 끊길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어 새로운 기술직 채용이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다. 해고된 용접·도장 분야의 기술자들도 처우가 더 좋은 수도권 건설 현장과 해외 선사로 이직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협회 측은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관계자는 “조선사가 수주잔량이 많은 상황은 맞지만 사정이 어려운 것은 여전해서 인건비를 많이 줄 수가 없는 상황이니 인력들이 다시 돌아올지 미지수”라며 “정부 차원의 지원에 기대는 경향이 크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