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률 0.25%…선진국 대비 저조
동물등록제·표준수가제 등 선결과제 산적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현대경제신문 임대현 기자] 윤석열 정부가 반려동물보험 활성화에 나서기로 하면서 그간 정체돼왔던 펫보험 시장이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윤 정부는 이달 초 110대 국정과제를 선정하면서 펫보험 활성화 공약을 발표했다. 금융당국과 협의해 맞춤형 펫보험 활성화를 위해 반려동물 등록, 간편한 보험금청구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겠다고 인수위 측은 밝혔다.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에도 대선 공약집을 통해 반려동물 표준수가제 도입 등 구체적인 동물복지 공약을 약속한 바 있다.

반려동물 등록 및 보험금 청구 간소화 시스템 구축은 보험업계의 숙원사업으로 꼽힌다. 당초 업계는 국내 소득수준 향상과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 등으로 펫보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반려동물 양육가구는 전체 가구의 27.7%에 해당하는 638만가구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591만가구)보다 47만가구 늘어난 수치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펫보험의 가입률은 0.25%로 매우 저조하다. 스웨덴(40%), 영국(25%), 일본(6%) 등 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국내 펫보험의 경우 우선 펫보험 비용이 최소 월 3만원 이상으로 싸지 않은데다 보험가입 조건도 까다롭다. 고령견의 경우 보험사가 보험 가입을 거절하는 경우가 많고 보장 범위 역시 제한적이다.

제도 역시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13년부터 시행 중인 반려동물 등록제의 경우 지난해 기준 가입률이 38.5%에 불과했다. 이에 반려동물들이 나이가 들거나 병원비가 많이 나오는 병에 걸릴 경우 주인이 동물을 유기하는 등의 사회적 문제가 늘어난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도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진료비가 표준화돼 있지 않아 보험사는 보험상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물병원마다 진료비가 제각각이고 불투명할 경우 보험료가 높게 책정되는 원인이 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펫보험은 최근 몇 년간 반려동물 시장이 크게 성장하며 신규 먹거리로 꼽혀왔으나 표준수가제 등 제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활성화되지 못했다”며 “새 정부가 시장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