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신문 이소희 기자] 세계 각지에서 코로나19 방역 빗장을 풀며 국경을 개방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국제선 확대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이다.

최근 유럽, 호주, 동남아시아 등지 국가들이 잇따라 입국 규제 폐지 방침을 밝혔다. 방역 규제 완화에 착수한 것으로 우리 정부 또한 접종 완료한 해외 입국자에 대해 자가격리를 면제키로 했다.

입국 규제 완화 소식과 함께 여행 심리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힘입어 항공업계에서도 국제선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운항 계획 마련에 나섰으나, 코로나 이전으로 복귀까진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아이러니한 점은 국내 항공 업황 회복의 최대 걸림돌이 팬데믹 상황 내지 외국 정부의 방역 조치가 아니라 우리 정부의 방역 규제 고수에 있다는 것이다.

국제선 운항을 위해선 노선 및 운항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허가는 물론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방역당국 승인도 받아야 하는데, 허가도 승인도 쉽사리 나오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사회 전반적으로 일상 회복 분위기가 확대되고 있으나, 정기 노선 복구 및 운항 허가에 대한 정부 입장은 아직 이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고 시름하기도 했다.

지난 3여 년간 항공업계는 팬데믹에 따른 국제선 운항 중단 여파로 벼랑 끝 위기 상황을 겪고 오고 있다.

그나마 대형항공사(FSC)의 경우 화물 운송 물량 증가에 힘입어 국제선 여객 감소 손실을 일부 만회할 수 있었으나, 여객 중심의 저비용항공사(LCC)는 달랐다. LCC는 소량의 현금이라도 확보하기 위해 특가 항공권을 내놓는 등 이른바 ‘출혈 경쟁’ 벌였고 일부는 자본잠식에 빠지기도 했다. 트래블버블(여행안전권역), 무착륙관광비행 등 활용 가능한 수단은 모두 동원했으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다.

항공업계 정상화를 위해선 국제선 확대가 유일한 해법이고 그렇기에 이를 위한 규제 완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방역 위험을 무릅쓰고 우리 홀로 규제를 완화하자는 게 아니다. 백신 접종률 증가와 더불어 세계 여러 나라의 일상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에 하는 말이다.

지금은 코로나 방역에 더해 그다음을 고려해야 할 때이기에 국재선 운항 재개에 대한 정부의 현명하고 과감한 선택이 있어야 할 것이라 본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