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시장, 생애 전주기 서비스로 확장

 
 

[현대경제신문 이소희 기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글로벌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중고차 시장 진출이 빨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 생애 전주기 케어 서비스에 집중, 국내 기업들 또한 서둘러 이 같은 역량을 갖춰 나가야 할 것이란 조언이다.

지난 10일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은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중고차 시장 진입 문제 관련 미국 실태 파악을 위해 로스앤젤리스(LA)에 자리한 사우스베이 렉서스의 마이크 홍 대표와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마이크 홍 대표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중고차 판매자는 프랜차이즈 딜러, 독립 딜러, 브로커 등으로 나뉜다. 프랜차이즈 딜러는 차량 판매 후 차량 생애 전주기에 걸쳐 안전과 품질관리 책임을 지고 있어 이러한 책임이 없는 독립 딜러나 브로커와 구분된다.

홍 대표는 “미국에 완성차 업체의 직영점이 아니라 프랜차이즈 방식의 신차 혹은 중고차 딜러망이 구축된 것은 광활한 면적과 다양한 고객 감안 시 본사와 프랜차이즈간 파트너십에 기초한 이 방식이 소비자에게 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소비자 편익 증대에 기여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완성차 판매자의 다양성과 이들의 경쟁으로 인한 편익 증가, 중고차별 이력관리, 트레이드 인(Trade in·보상판매) 거래, 인증·보증 등 4가지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진출을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결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홍 대표는 “글로벌 업체들의 경쟁 범위가 ‘신차 판매-부품 판매-수리·정비 서비스 제공-차량이력관리-중고차 매매’등 차량 생애 전주기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 중 하나라도 결여된 완성차 업체는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만기 회장은 “세계 자동차산업이 차량의 단순 판매에서 차량 생애 전주기 서비스 경쟁으로 진화하는 상황에서 한국만이 세계 흐름에 역행하는 경우 우리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에서 낙오될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국내 소비자는 차 판매시점과 이후 운행 이력 정보 역량, 순정 부품과 정비 서비스 역량을 갖추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서비스를 받지 못해 수입산 대비 역차별을 받을 우려가 있다”며 “완성차 업체들은 중고차시장 진입을 서둘러야 하며 정부도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