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력·기술력 모두 시장 신뢰 못 얻어

 
 

[현대경제신문 이소희 기자] 쌍용자동차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에디슨모터스의 자금력과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 정밀실사 결과 추가 부실이 발견됐다며 법원에 인수가 하향 조정을 요청했다. 앞서 회생계획안을 제출하기도 전에 쌍용차 부지를 담보로 산업은행에 운영자금 8000억원의 대출 의사를 밝혀 시장의 빈축을 사기도 했다.

일련의 과정을 지켜본 시장에선 에디슨모터스의 자금력에 대한 의문이 커졌다. 일각에선 쌍용차 인수 무산 가능성을 비롯해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 부지를 이용한 ‘주가 올리기’, 쌍용차 기술 유출 등을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강영권 에디슨모터스 회장은 쌍용차 인수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며 모든 의혹에 선을 그었다. 회사를 살리고 싶은 의지와 살릴 수 있는 복안이 있어 쌍용차 인수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쌍용차 회생 계획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하기도 했다.

문제는 제시된 로드맵이 시장의 의구심을 한층 더 부추겼다는 것이다.

에디슨모터스는 내년까지 10종, 2025년까지 20종, 2030년까지 30종의 전기차를 생산해 5년 내 흑자전환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이미 배터리·모터·전자제어 기술력과 ‘스마트 플랫폼’을 갖고 있고 이를 쌍용차 생산라인과 접목하면 전기차 개발 비용을 500억원으로 낮출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한 대를 개발하는 데 최소 3000억원 이상, 신차 개발 기간도 3년 이상이 필요하다며 로드맵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다.

전기버스에 집중된 에디슨모터스의 기술력이 승용차에 어떻게 적용될지도 두고 볼 부분이다. 성공적으로 전기차 상용화에 성공하더라도 기존 완성차 업체 제품과 비교해 경쟁력을 가질지도 미지수다.

쌍용차 인수에 대한 에디슨모터스의 자신감이 나쁜 건 아니겠으나, 의구심 해소를 위한 노력이 우선돼야 할 시기라 본다. 부디 에디슨모터스가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도 적극적이길 바라본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